<시론> 진흥재단 직원들… 왜 자꾸 ‘태권도원’ 떠나나?

  

지난 4월부터 20명 퇴사, 낮은 연봉과 닫힌 조직 탓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이지만 다른 공공기관에 비해 연봉과 복지후생 미흡
일부 간부급 직원들 권위의식과 독단, 직원들 퇴사하라고 부채질하는 격
인터넷 방송 <긴급구조 태권도>, 태권도원 조직 문제 곧 탐사 보도할 예정


12월,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무주 태권도원은 황량하다.

임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는 내부 사무실에 가면 적요하지만 그 속에 쓸쓸함과 살벌함도 공존하고 있다. 몇 개월 전 정답게 인사를 나눴던 직원들은 없다. 퇴직했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 되풀이되고 있다.
도대체 태권도원을 관리-운영하고 있는 태권도진흥재단(TPF)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한 달 동안 그 내부의 속살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TPF는 지난해 봄 조직 운영을 전면 개편했다. 지난해 4월부터 태권도원 운영을 위한 현장체제로 전환했다. 태권도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조직을 기존 2국 5팀 1추진단에서 2본부 8부로 개편하면서 여러 명의 직원들이 한꺼번에 퇴사했다. 서울 한복판에서 산골 무주로 이전하자 많은 직원들이 생활 불편, 근무환경 열악 등의 이유로 정든 직장을 떠났다.

당시 유진환 TPF 사무총장은 “사무실 이전을 앞두고 여러 명이 그만 둔 것은 맞다. 인력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획재정부로부터 20명의 직원을 충원할 수 있는 허락을 받아냈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1년 8개월이 지난 현재, 태권도원을 관리 운영하는 TPF는 정규직 56명과 계약직, 위탁 용역직을 포함해 100명에 이른다. 조직은 방대해졌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 바로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는 직원들의 퇴사 현상, 즉 태권도원 이탈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4월 TPF가 태권도원으로 이전하면서 기존의 직원들이 그만 둔 것은 접어두고라도, 왜 아직도 많은 직원들이 1∼2년을 근무하지 못하고 태권도원을 떠날까? 몇 개월에 한 번씩 취재하기 위해 사무실에 가면 낯익은 직원들은 퇴직해서 없고 그 자리에 신규 직원이 앉아 있다.

지난해 4월부터 TPF를 퇴사한 직원은 20여 명. 현재 퇴사 의사를 밝힌 직원도 여러 명이다. 그들은 왜 힘들게 취직한 태권도원을 그만 둬야만 했을까?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태권도진흥재단 사무실을 태권도원 운영센터로 옮기면서 고사를 지내고 있다.


첫째, 연봉(임금)이 적고 복리후생이 미흡하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비슷한 공공기관과 비교하면 일반 직원들의 연봉은 너무 적다. 태권도원 신규 직원의 연봉은 2,400만 원. 각종 세금을 떼고 나면 월 180만 원이다. 올 4월부터 그나마 야근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사택이 없어 태권도원 인근에서 하숙과 자취 등을 하면 집세와 생활비가 적지 않게 들어 생활이 곤궁하다.

6급 말단 직원부터 과장급 4급은 그야 말로 박봉이다. 과장급은 국기원과 비교해도 너무 적은 편이다. 실정이 이렇다 보니 지난해 4월 이후 퇴사자의 대부분이 6∼4급이었다. 지난해 공무원 연봉이 1.7% 인상됐는데 태권도원 직원들은 동결됐다.

직장을 따라 무주로 생활터전을 옮긴 직원들에 대한 집세 및 교통비 지원은 좀처럼 이뤄지지 않고 있다. 10여 명도 안 되는 대전 거주 직원들을 위해 전세버스를 운행하는 것은 허울좋은 지원책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공공기관과 비교해 복리후생비도 턱없이 적다. 일반 직원은 1인당 58만 원 밖에 되지 않는다. 올 초 20만 원 정도 인상했는데 공공기관 정상화 지침에 지레 겁을 먹고 초과로 쓴 직원들은 월급에서 회수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반 직원들이 느끼는 박탈감은 심하다. 부장, 본부장, 사무총장 등 간부급 임직원들에 비해 턱없이 적은 임금에 대한 불평과 불만이 터져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용역업체 직원들이 행정직 5급보다 월급이 더 많다 보니 미래가 불투명한 직원들이 그만 두겠다고 토로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 직원들에게 ‘애사심’을 바라는 건 무리다. 공공기관에 취업했지만 다른 공공기관과 비교해 전혀 공공기관 같지 않은 태권도원에서 애사심을 갖고 ‘평생직장’처럼 생각할 직원들이 얼마나 되겠는가? 사택 제공과 휴일 특근수당, 공공기관에 준하는 연봉과 복지후생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한다. 그것은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매우 시급하다.

둘째, 내부 조직이 건강하지 않다. 일반 직원들과 간부급 직원들간의 괴리감이 심하다. 불신과 불통이 심각하다. 별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쉬쉬할 뿐이다. 일반 직원들이 느끼는 부장 등 간부급 직원들의 독선과 전횡, 막말과 폭언 등이 사무총장과 이사장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것도 문제다. 그만큼 조직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방증이다.

물론 어느 집단이나 회사에는 상급직원과 하급직원 간의 마찰과 갈등이 있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해서 간부급 직원들의 권위 과시와 독선, 언어폭력 등이 있어서는 안 된다. 태권도원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조직이라고 해도 직원들의 자율과 인권은 존중되어야 한다. 간부급 직원이 출근하면 단체로 일어나 인사를 해야 하고, 야근을 하지 않는다고 타박을 당하는 일이 근절되지 않으면 TPF는 희망이 없다.

간부급 직원들의 눈에는 일반 직원들의 업무가 서투르고 성에 차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열악한 근무 환경과 박봉 속에서도 열심히 일 하고 있는 직원들에 대한 인격적 존중과 자율 보장은 필요하다. 당근과 채찍이 동시에 필요한데, 채찍만 있는 듯하다.

이처럼 가뜩이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퇴사률이 높고, 또 퇴사하려고 하는 직원들이 있는 현실 속에서 일부 간부급 직원들의 권위의식과 독단이 계속 된다면 일반 직원들의 퇴사를 더욱 부채질하는 악수가 될 것이다.그런 내부 조직 풍토속에서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은 기대하기 힘들다. 건강한 조직문화도 요원하다.

2015년 1월 초, 태권도원을 찾았을 때 낯익은 직원들이 또 짐을 싸서 그 곳을 떠나지 않기를 갈망한다. 인터넷 방송 <긴급구조 태권도>는 직원들이 퇴사하는 이유를 세상에 널리 알리고, 그 개선책을 탐색해 방영할 예정이다.




[글. 무카스미디어 객원 칼럼리스트 = 서성원 기자 | 태권저널 편집장]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태권도진흥재단 #태권도원 #조직

댓글 작성하기

자동글 방지를 위해 체크해주세요.
  • 태권발전

    직원의 수. 수백, 수천이 근무하는 기관도 연봉이 같다.의 의견.
    조금 다르게 볼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기사를 보면 야근수당조차 책정 및 지급이 안되어있다가 요근래 개시가 된 것 같은데요, 인원이 많으면 업무의 량도 분산이 되고 그렇게 되면 집중도 및 처리효율이 높아질거라 봅니다.

    2015-03-29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태권발전

    서성원 기자님이 작성하신 기사를 보고 댓글란에 뉴스11님이 적으신 글을 보았습니다.
    타기관과 비교를 하여 작성을 해주셨는데요, 저의 의견은 조금 다릅니다. 물론 공공기관 임금구조는 타기관과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제가 알아본 바로는 모든공공기관이 다 그렇지는 않은 것 같고 복지수준까지 비교를 해야하는데 이것은 공시자료로는 비교가 힘들것 같습니다. 단순비교는 의미가 없어보이구요,

    2015-03-29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뉴스11

    기사 잘 봤습니다. 임금문제를 첫번째로 거론하며 수십줄에 걸쳐 진단해 놓긴 했지만.. 태권도전문기자분이셔서 그런지 공공기관 임금구조 현실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태권도재단 초임이 2400이라고 하는데.. 임직원 수백,수천명씩 근무하는 농어촌공사, 건강보험공단도 2400입니다. 근로복지공단이나 토지주택공사도 2500밖에 안되요.. 재단처럼 기타공공기관도 아니고 준정부기관인데도 불구하고요.. 이런 기관들 본부장급 정도면 수당 모두 포함해서 연 1억 가까이 가져가는데 이런거에 비하면 오히려 태권도재단 간부들이야 말로 박봉이죠. 공공기관경영공시사이트 보시면 아실겁니다

    2014-12-18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뉴스11

    공무원 1.7% 임금상승이나 태권도재단 임금동결이나 별반 차이도 없어 보이구요
    오히려 민간에서는 불경기 때문에 임금이 삭감되는 경우도 부지기수 입니다.

    그리고 사택이 없어서 하숙과 자취등을 하기때문에 주거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는데..
    반대로 생각해보면 지방사람이 서울로 취직했다고 해서 주거비 지원해주는 사례 보신 적 있으신가요?
    서울살이하는게 지방보다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훨씬 많이들텐데 말입니다..

    그리고 수십개의 지방이전 공공기관 대부분도 사택지원 안합니다.
    국민의 혈세를 기관에서 추진하는 사업비에만도 지출하기에 급급한데
    직원 사택이라니요.. 시민단체나 국회에서 가만히 놔둘까요?

    2014-12-18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뉴스11

    두번째 언급한 내부갈등..???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객관적인 사례를 제시하며 기사의 신빙성을 높여주셨으면 더 좋을 것 같네요..

    2014-12-18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
  • 붕붕이

    진흥 재단 직원들에 비해 용역 업체 직원들이 연봉을 더 받으면 안되는것인가?무조건 정규직이 용역 업체 비 정규직 직원에 비해 연봉이 우선 되어야 한다는 식의 이론은 어디에서 근거 하는지 모르겠다. 안그래도 비정규직이라는 서러움에 갑사 측에 아무런 말도 못하고 일하는 사람들인데 왜 꼭 그들과 비교를 해야 하는지....

    2014-12-17 00:00:00 수정 삭제 신고

    0